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서천군청

사이버강좌

 
성암도 스님-지혜가 있는 삶은 아름답다 글의 상세내용

『 성암도 스님-지혜가 있는 삶은 아름답다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성암도 스님-지혜가 있는 삶은 아름답다
작성자 문따세 등록일 2005-03-16 조회 6986
첨부
저서 “물같이 바람같이” 간추린 내용


자기 인생의 주인이 되는 길-불교를 공부하는 것은 자기 인생의 주인
이 되는 길을 찾는 것
내가 깨달은 바 진리를 믿는다
그리고 나 자신을 믿는다-부처님 말씀

주인으로 사는 길은
1. 정직해야 한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주인 자격이 없다
스스로 정직해야 타인도 가족도 사회도 국가도 신용하게 된다.
2. 질서를 잡을 줄 알아야 한다
마음과 주변이 안정되기 위해서는 질서가 필요하다
개인의 질서가 잡힘으로써 사회질서, 국가질서가 바로 서게 된다
3. 주인은 항상 창조해야 한다.
그럭저럭 살면 안됨.
주인이라면 창조적으로 할 줄 알아야 하고 또 책임질 줄도 알아야
한다
→불교의 특징은 주인이 되자는 것
부처님이란 말 뜻은 주인이라는 뜻
내마음의 부처님 마음의 주인이라는 말
자기 인생의 주인은 자기 밖에 없다.
나를 책임질 사람은 이 세상에 아무도 없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

우주의 근본 진리
“ 진리는 내가 이 세상에 나왔거나 말거나 영원한 것” - 부처님 말씀
진리를 알거나 모르거나 중생이 믿거나 믿지 않거나 영원이 변치 않는 것

1. 변한다는 그 자체만 변하지 않는다
우리는 이 무상 때문에 태어났다.
변하지 않는다면 우리가 태어나지도 늙지도 죽지는 않을 것이다.
2. 나는 지금 여기에 있다.
지금 내가 여기 있다는 것은
최초 나의 근본업인 인(因)이 있고
나의 조상과 부모의 유전업이 연(緣)이 되고
우주의 삼라만상이 보조연으로 제조업이 된다
이런 연이 있어 내가 여기 있는 것
그러므로 우리는 모든 존재가 자기 혼자만이 있을 수 없다는
제법무아의 이치를 깨닫고 연기의 진리를 터득해야 한다.
우주는 아의 연장선상에 놓여 있고 나는 우주의 총화 속에 살고 있다
결국 나는 이 세상에 혼자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게 된다
연기설은 “ 이것이 있기 때문에 저것이 있고 이것이 일어나기 때문에
저것도 일어난다“ 여기서 말하는 이것은 자기 주관을 말하고 저것은
객관을 말한다 주체인 나 “이것”과 객체인 남 “저것”이 서로
인연관계로 연관되어 인연생기한다는 것이 인연설
내가 여기 있다는 것은 내가 여기 있어 우주도 있고 남도 있다
3. 마음의 고향
마음의 고향이란 변치 않는 마음
절대로 변치 않는 참마음이 있다(본래 가지고 있는데 가려서 안보임)
부모미생전 본래 면목 - 우리 부모가 태어나기 전 본래 자기의
참 모습
모든 것의 근본은 마음이다
천당과 지옥도 마음에 있다
그러므로 일체유심조라 했다
인간의 마음은 질적인 면으로 나누면 크게 두가지
새마음-진실하고 선량하고 아름다운 마음(진 선 미)
불보살의 자비심이기도 - 지장보살의 지옥의 모든 중생을
구제하지 않고서는 열반에 들지 않겠다 했다
헌마음-탐진치 삼독심은 인간의 본능에서 생기는 중생심
헌마음은 자신을 망치고 이웃을 해롭게 하고 나라를
망치는 요인이 된다
본래 마음은 부처님 마음과 똑같이 청정하고 원만하며 미묘하다
참마음으로 돌아가면 불심을 갖게 되고 미래 부처가 된다
마음이 깨끗하면 몸이 깨끗해지고 몸이 깨끗하면 이웃이 깨끗해지고
이웃이 깨끗해지면 나라가 깨끗해 진다
하루 빨리 변치 않는 마음의 고향을 찾아 오탁악세를 버리고
우주의 근본 진리를 깨닫고 자기 인생의 보람을 느끼고 사회에 봉사
함으로써 불국토를 이땅에 건설해야 한다
천당도 지옥도 이땅에 있다

인생의 진리
1. 삶은 고달픈 것만은 아니다
생·노·병·사- 사고(四苦 )와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지는 것
원수하고 만나는 고통
정력이 넘쳐도 고통
무엇을 얻고자 하는 데 얻지 못하는 것도 고통
팔고(八苦)
기쁜일도 있고 슬픈일도 있다.
(새옹지마)
생각하기에 따라서 이 세상은 낙원도 되고 고해도 된다
지혜스럽게 잘 살면 그 인생은 기쁘고 즐거운 것이고
잘못살면 그 사람의 일생은 괴롭고 슬픈 것이 되고 만다
잘살려면 많은 노력과 인욕이 필요하다
2. 집을 짓는데 필요치 않은 물건은 없다
불국토를 건설하는 데는 한 물건도 버릴 것이 없다
사람은 잘 살아야 백년 남짓 사는 데 천년 만년 살 것처럼 욕심을
낸다
여기에서 갈등이 생기고 근본적인 문제가 생긴다
우주의 근본 진리인 무상과 무아를 망각하고 아집과 편견으로
자존과 배타와 이기주의 사고 위에 번데기와 같은 자기집을 하나
씩 지어 놓고 산다
고의 원인인 무명과 탐애의 집을 없애야 극락집이 나타난디
3. 없애야 알 것은 없애야 한다
나쁜 것은 없애야 한다
탐진치 삼독심은 고해의 원인이고 중생의 뿌리가 된다
탐진치로 물든 중생심을 버리고 진선미 양심인 새마음을 가지면
보살 청정.원만.중묘. 각심인 참마음을 가지면 부처
해탈의 삼대요소 - 자유 자재 무애
4.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도대체 인생이란 무엇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고
팔정도를 실천
정견 - 인생은 보는 것
눈으로 보고, 귀로 소리를 들어보고, 손으로 만져보고,
머리로 생각해 보고
견해가 바라야 한다,
지혜의 눈으로 진리를 바르게 본다는 뜻
정사유 - 바른 생각은 정견 못지 않게 인생을 좌우
바르게 보더라도 생각이 바르지 못하면 그이 사상은
비뚤어지게 마련
정어 - 마른 말, 거짓말로 임시 모면하더라도 결국은 인간적 대접은
못받게 됨
정업 - 바른 직업
정명 - 자기의 타고난 소질이나 생김새 시대에 맞는 직업을 알아야
정념 - 확고 부동한 신념, 인생에 성공한 사람은 신념이 있는
사람이다. 신념이 있으면 안되는 일이 없다
정정진 - 바른 정진
무조건적인 정진은 안됨
정진의 삼대요소 - 바른 목표, 바른 방편, 끝임없이 노력
하는 것
정정 - 바른 선정
정신통일의 경지로서 마음의 안정을 말함
번뇌망상을 버리고 마음의 고향에 안착되면 그 사람은 행복한
사람
올바른 곳에 뜻을 두고 열심히 정진하면 뜻이 이루어진다


하늘의 진리는 하늘에 있고 땅의 진리는 땅 가운데 있으며 인생의 진리는
인생살이 속에 있다
진리는 어느 특정인물이나 어떤 신의 소유물이 아니다
어디까지나 진리는 보편 타당성이 있는 것이고 동서 고금을 통해서
변하지 않는 만고불변의 원칙이다.
우리는 누구나 진리 속에 살고 진리 속에 죽어가고 있다
이것을 알면 마음이 편하고 행복해 진다
행복은 인생의 목적이다
행복은 현실의 극락이다
팔정도의 길을 닦고 마음의 등불을 삼아 현실 극락을 생활속에서
이루어야 한다


강의 내용 간추림


습관을 잘 들여야 한다
습관성, 버릇이 무섭다. 습관이 업이 된다
마음을 크고 넓고 깊게 가져야 한다
마음먹기에 따라 정신이 달라짐
마음은 같으나 정신 수준에 따라 다르다
바르게 양심대로 살아라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는 것도 업 때문에 태어난다
사람만드는 사업이 제일 큰 사업
악업을 짓는 것이 본능
놀기만 하면 축생에
먹는 걸 좋아하면 아귀에
싸움을 좋아하면 아수라에
사람이 사람짓을 하면 사람으로 태어난다
선업을 행하면 천신으로 태어남



불교에서는 선악의 표준은 몸(身)과 입(口)과 생각(意)으로 하는 삼업(三業)이 선을 행했느냐 악을 행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선한 행위를 하는 것을 십선업(十善業)을 짓는다 하고, 나쁜 행위를 하는 것을 십악업(十惡業)을 짓는다고 한다. 십악업은 몸으로 짓는 업이 세가지, 입으로 짓는 이 네가지, 생각으로 짓는 업이 세가지다.

살생(殺生)-생명을 죽이는 행 ------┐
투도(偸盜)-물건을 훔치는 행위 --- 신업(身業)-┐
사음(邪淫)-삿된 음행을 하는 행위---┘
망어(妄語)-이치에 맞지 않는 -----┐
기어(綺語)-비단결 같은 거짓말 ----"
양설(兩舌)-이간질하는 말 ----구업(口業) --- 십악업(十惡業)
악구(惡口)-나쁜 욕설 -----------┘
탐심(貪心)-탐욕을 갖는 마음 ---┐
진심(嗔心)-분노하는 마음 --- 의업(意業)------┘
치심(癡心)-어리석은 마음 ------┘
잘사는 법
10악업을 10선업으로 행해야 한다
살생을 방생으로
투도를 근면으로
사음(邪淫)을 정음으로
망어(妄語)를 진언(眞言)으로
기어(綺語)를 실어(實語)로
양설(兩舌)을 정어(正語)로
악구(악구)를 애어(愛語)로
탐(貪)을 보시로
진(嗔) ?
치(癡痴)를 지혜(智慧)로

지혜는 현실 긍정적 사고

글쓰기 수정 삭제 답변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평생학습_문화학당참여마당의 이전글과 다음글을 보여주는 설명하는 표입니다.

다음 천세욱-건강한 참 삶을 위하여
다음 서상록- 변해야 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