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서천군청

열린공간

 
"흡연 돌연사 위험, 40∼50대 최고조…예방책은 금연"(금연소식에서 퍼온글입니다.) 글의 상세내용

『 "흡연 돌연사 위험, 40∼50대 최고조…예방책은 금연"(금연소식에서 퍼온글입니다.) 』글의 상세내용을 확인하는 표로 제목,작성자, 등록일, 조회, 첨부, 내용으로 나뉘어 설명합니다.

제목 "흡연 돌연사 위험, 40∼50대 최고조…예방책은 금연"(금연소식에서 퍼온글입니다.)
작성자 건강증진과 등록일 2020-01-09 조회 966
첨부
(금연소식에서 퍼온글입니다.)


분당서울대병원, 50만명 분석…"젊은 급성심근경색 대다수가 흡연자"


(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흡연자인 경우 사회활동이 가장 활발한 40∼50대에 심혈관계질환 등

으로 갑자기 사망할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윤창환 교수 연구팀은 2002∼2013년 정기 검진을 받은 사람 중 50만여

명의 국민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40대 흡연자는 급성심근경색 등 심장계통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가 비흡연자

대비 약 2.79배 높았고, 50대 흡연자는 심장 외의 질환으로 사망할 위험도가 비흡연자 대비 약 2.8배

높았다.


급성심근경색이나 심장마비 등 심장 계통 급성 질환 발병은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흡연자와

비흡연자 그룹 사이의 위험도의 차이가 좁혀졌다. 70대 이상 등 고령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폐암이나 심장 외 질환의 경우 흡연자군에서 평생 위험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 교수는 "급성심근경색으로 응급실에 내원하는 젊은 남성 환자는 거의 예외 없이 흡연자"라며 "

이번 연구결과에서 보여주듯 담배가 젊은 나이 돌연사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반면 금연자의 경우 비흡연자와 비교해 돌연사 등 위험도에 큰 차이가 없다"며 "이는

즉시 금연하는 것만이 건강을 지키는 방법이란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로스원'(PLOS ONE) 10월호에 게재됐다.


금연크리닉실 은 언제나 열려 있습니다.

금연하고 건강찾으세요 *^^*

글쓰기 수정 삭제 답변 목록

게시판 이전 및 다음 링크

보건소_자유게시판의 이전글과 다음글을 보여주는 설명하는 표입니다.

이전 서천엔 미소맘 산모도우미 이용후기입니다~
다음 다이렉트자동차보험비교견적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