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물의 깊이와 온도, 물흐름의 빠르기를 먼저 확인합니다. 구조요원과 의무실을 확인하고 유사시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둡니다. 안전장비의 작동 상태를 꼭 확인합니다. 특히 공기 튜브는 바람이 꽉 찼는지, 새는 곳이 있는지 반드시 확인합니다. 유사시에 던져줄 수 있는 물에 뜨는 기구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합니다.
※ 어린이들을 위해 어른이 먼저 물에 들어가서 바닥의 상태, 수온, 유속 등을 확인합니다. 배꼽 이상 물이 차는 곳에서는 물놀이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

|

식사 후, 특히 음주 후 열이 나거나, 피곤할 때 햇볕이 너무 강렬할 때 물이 차갑거나, 오염되어 있을 때 |

|

|
 - 적당한 운동으로 몸의 근육을 풀어 줍니다.
|

물에 들어갈 때는 손,발 → 다리 → 얼굴 → 가슴의 순서로 몸에 물을 적신 후 천천히 들어갑니다. 물 깊이를 알고 있는 곳에서만 물놀이를 합니다. 다리에 쥐가 나면 즉시 물 밖으로 나옵니다. 다음의 증상이 있으면 물놀이를 중지합니다. - 몸이 떨리거나, 입술이 푸르고 얼굴이 당기는 증상 - 피부에 소름이 돋을 때 위급할 때는 한쪽 팔을 최대한 높이 올리고 흔들어 도움을 청합니다. 물놀이 중에는 껌이나 사탕을 먹지 않습니다. 자신도 모르게 기도를 막을 수 있습니다. |

강이나 계곡에서는 다이빙을 하지 않습니다.
|
※ 어린이들을 위해 - 물 근처에서 아이들이 혼자 놀지 않도록 합니다.
- 친구를 밀거나 장난을 하지 않도록 합니다.
- 신발 등의 물건이 떠내려가도 절대 혼자 따라가서 건지려 하지 말고, 어른에게 도움을 청합니다. |

|
|
|
|
출처:중앙응급의료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