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폭염에 의한 장애 및 응급처치요령 ▣
① 일 사 병
□ 원 인 ○ 더운 곳에서 열심히 운동을 하였거나 장시간 햇볕을 쬐면 일어나는 것
□ 증 상 ○ 토할 것 같은 느낌과 어지러움, 두통, 경련, 일시적으로 쓰러질 수 있음
□ 응급처치 ○ 시원한 장소로 옮김 ○ 편안한 자세로 보여주고 옷을 벗겨줌 ○ 부채질을 해주거나 이온 음료 또는 물을 준다 단, 의식이 없으면 입으로 아무 것도 주지 않음
<주의사항> ○ 일사병은 보통 시원한 곳에서 안정시키면 좋아지는 경우가 많으나 주위가 덥고 의식이 없어졌다고 하여 다 일사병은 아니다 따라서 의식이 없는 환자는 의료기관에서 확인하는 것이 중요
② 열 사 병
□ 원 인 ○ 격렬한 신체활동, 밀폐된 공간 거주, 잠겨진 차량 안 ○ 신체가 조절할 수 있는 체온의 방어기전보다 더욱 많은 열을 받을 때에 발생 ○ 환자의 체온조절 기능이 중단 ○ 생리적 방어기능이 소실되면 높은 체온에 의하여 신체조직이 파괴되고 사망
□ 증 상 ○ 이런 환자들은 피부가 뜨겁고 건조하며 붉은 색을 띠고 땀을 흘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이 특징임 ○ 의식은 혼수상태 ,통증자극에 무반응, 체온은 41도 정도 ○ 초기 맥박은 빠르고 강하나 시간이 경과하며 약해지고 혈압은 저하
□ 응급처치 ○ 시원한 장소로 환자를 옮김 ○ 옷을 벗기고 젖은 수건이나 담요를 덮어주고 부채질을 해줌 ○ 가장 중요한 것은 체온을 내려주는 것임 ○ 병원으로 이송하여 신속히 치료를 받음
<주의사항> ○ 열사병 환자는 몸의 표면보다 중심체온이 상승한 것이 근본적인 문제, 따라서 겉의 피부만 시원하여서는 근본적 처치가 되지 않음 ○ 즉 얼음물로 환자를 식혀 체온을 높이려고 하였다가는 몸 표면의 혈관이 수축되어 몸 안의 열이 잘 발산되지 않음 ○ 따라서 혈관이 수축되지 않을 정도의 너무 차지 않은 물로 자꾸 닦아주고 바람을 일으켜 열이 증발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함 ○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신속한 이송도 중요
③ 열 경 련
□ 원 인 ○ 더운 기후나 심한 운동 후에 주로 나타남 ○ 신체의 수분과 전해질 손실
□ 증 상 ○ 손과 발, 복부에 경련, 때로는 어지러워 쓰러질 수도 있음
□ 응급처치 ○ 환자를 그늘지고 시원한 장소로 옮겨서 편안한 자세를 해줌 ○ 부채질을 해주거나 이온 음료 또는 물을 준다 단, 의식이 없으면 입으로 아무 것도 주지 않음 ○ 경련이 있는 부위는 압력을 주어 맞사지 하거나 찬 수건을 대어주는 것이 좋음 ○ 만약 경련이 계속 된다면 병원으로 이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