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다담서천맞춤서비스

다담서천 레이어 닫기

관광

문화관광 이미지
서천, 어디까지 가봤니?

문화관광

일상에 지치고 고민으로 머리가 복잡하다면 서천에서 일상의 작은 쉼표를 찍어보세요

홈페이지

사이버서천군민 서천 혜택을 누리다 사이버 서천 인人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혜택을 누리세요

사이버서천군민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다양한 혜택과 나눔을 실천하세요

홈페이지

조류생태전시관 이미지
가까이에서 보고 즐기고 느끼는

조류생태전시관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자연환경 보전 및 체험교육 학습장 ...

홈페이지 지도보기

한산모시관 이미지
아름다운 우리의 혼 한산모시

한산모시관

우리전통 천연섬유의 우수성과 역사성, 문화적 가치를 느끼고 체험하세요.

홈페이지 지도보기

동백꽃마을 이미지
도시인의 휴식공간

동백꽃마을

갯벌체험, 농촌체험, 농촌문화체험 등 도농간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도시인의 휴식공간을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국립생태원 이미지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

국립생태원

우리의 생태계를 연구하고, 재현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만들어진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농사랑 이미지
작지만 큰 기쁨

농사랑

충남 서천의 특산품과 농산물을 한곳에서 만나는서천군쇼핑몰 농사랑

홈페이지

서천특화시장 이미지
바다향기 가득한 정겨운 공간

서천특화시장

싱싱한 수산물을 만날 수 있는 서천특화시장! 청정갯벌에서 생산되는 수산물로써 수산물 외에 다양한 상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도보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이미지
해양생물자원 부국의 초석!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다양성을 연구하고 해양생물 산업에 대한 기본소재를 확보 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교육

평생학습센터 이미지
봄의마을

평생학습센터

서천군은 학습을 통해 협력하고 성장하는 행복학습도시라는 큰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정보화교육 이미지
교육 함께 나눠요!

정보화교육

지역주민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료 정보화교육 을 연중실시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농업기술센터 이미지
미래 생명농업을 만들어가는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 및 과학영농기술, 농업동향 및 유통마케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후변화교육센터 이미지
미래 환경보존을 위한

기후변화교육센터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과 실천들을 배워나갈 수 있는 기후변화 교육 공간입니다.

홈페이지

서천도서관
지혜와 정보 나눔터

서천도서관

지역주민의 지식 정보욕구를 충족시키 기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천 지역의 유일한 공공도서관이며 문화공간 ...

홈페이지

복지

복지포털 이미지
서천군민의 희망을 채웁니다.

복지포털

맞춤형복지로 어르신, 여성, 청소년, 장애인, 어린이 등 통합 복지 정보를 안내합니다.

홈페이지

자원봉사센터 이미지
당신의 사랑을 이웃에게 전해주세요!

자원봉사센터

보다 질 높은 자원봉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자원봉사자들의 소중한 ‘가치’를 존중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보건소 이미지
주민과 함께 하는 건강 지킴이

서천군보건소

지역주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은 물론 충실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 의료기관입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노인복지관 이미지
노인들이 편안한 공동체를 건설

서천군노인복지관

‘사랑, 행복, 나눔’의 비전으로 서로서로 건강한 행복공동체를 만들어, 사랑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이미지
고객의 꿈와 선택이 존중받는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소박한새로운 꿈을 위해 이용자들의 작은 소리와 마음을 소중히 여기고 귀 기울이는 열린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타

서천군통계 이미지
오늘의 서천

서천군통계

궁굼하지만 쉽게 알 수 없었던 서천의 인구추이, 토지 및 기후 등을 안내해 드립니다,

홈페이지

공공시설사업소 이미지
깨끗한 변화, 더 좋은 서천

공공시설사업소

서천군민의 주민복지 및 건강증진, 체력 단련 등 군민을 위한 안락하고 쾌적한 복지문화를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재난안전대책본부 이미지
재난없는 안전하고 행복한 서천

재난안전대책본부

재난으로부터 군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모든 재난예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홈페이지

맑은물사업소 이미지
맑고 깨끗한 서천의 생명수

맑은물사업소

서천군 맑은물사업소는 군민을 위하여 맑고 깨끗한 수돗물, 맑은 하수처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sns로 서천의 스토리를 공유해 주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우리마을유래

우리면소개 우리마을유래

현재페이지 인쇄

남쪽은 금강(錦江)으로 면해서 풍부한 수원으로 농어업에 종사하는 이상적인 전원지대이다. 한산군(韓山郡)의 남쪽이 되므로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이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이 곳에 있는 화양산(華陽山)의 이름을 따서 화양면(華陽面) 이라 하였다.

지역을 개발하고 정착하여 오랜 세월을 뿌리로 한 성씨(姓氏)로는 나주정씨(羅州丁氏),교하노씨(交河盧氏), 양천허씨(陽川許氏), 나주임씨(羅州林氏), 한산이씨(韓山李氏), 안동권씨(安東權氏), 남원양씨(南原梁氏)등이 있다. 나주정씨는 210여호, 교하노씨 80여호,양천허씨 60여호, 나주임씨 120여호, 한산이씨 80여호, 안동권씨 70여호, 남원양씨 70여호가 큰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고마리 (叩馬里)

한산군 남상면(南上面)의 지역이었다. 지역이 고맛들 가운데가 되므로 고마(叩馬)라고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고마리(叩馬里)가 되었다. 교하노씨(交河盧氏)와 양천허씨(陽川許氏)의 집성마을이 있다

금당리 (琴堂里)

한산군 남상면(南上面)의 지역으로서 검당이란 신당이 있으므로 금당이라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때에 금당리(琴堂里)가 되었다.

기복리 (箕福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기복리라 하였다. 나주정씨(羅州丁氏)의 집성마을이 있다. 나주정씨가 이곳에 내려오게 된 처음 중시조부터 현재 10대 손이 거주한다.

두루재

원봉(圓峯)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뒷산이 둥글게 생겼으므로 두루재 원봉이라고 부른다.

치울재

기산(箕山)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을 두르고 있는 산의 형국이 치와같이 생겼다해서 치울재라고 부른다.

남성리 (南星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남생이처럼 생겼으므로 남생이라고 부르던 것이 변하여 남성이라고 부르고 1914년 행정구역 개혁후에 남성리(南星里)가 되었다. 안동권씨(安東權氏)가 많이 살며 옛날부터 집성마을의 형성이 있었던 곳이다.

오얏골

옛날 마을에서 기와를 구웠으므로 오얏골이라고 부른다.

광생이

광생(光生), 광생리(光生里)라고도 부른다. 이 마을을 두르고 있는 일광산(日光山)과 제월봉에 비치는 해와 달이 마을로 하여금 번성하게 한다고 해서 광생이라고 부른다 한다.

대등리 (大等里)

한산군 동하면(東下面)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 남하면 대산리를 병합하여 대등리라 하였다.

감둑굴

샘의 물맛이 좋아서 옛날에는 한산군수(韓山郡守)가 길어다가 마셨다는 우물이 있는 마을이라 한다.

등칠

마을 뒷산의 등성이가 일곱이 된다 해서 등칠이라고 부른다.

뱃챙이

땅속에 물이 많아서 배아래 물이 흐르듯 땅을 팔수록 물이 흔하다 하여 뱃챙이라고 부른다 한다.

비석날

산의 날등성이에 비석이 서있다 해서 비석날이라고 부른다.

잿밭

등성이에 마을이 있으므로 잿밭이라고 부른다.

한저울

옛날에 큰 절이 있었으므로 한절, 한저울, 대사(大寺)라고 부른다.

대하리 (大下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서 한저울 아래쪽이 되므로 대하(大下)라 불러오던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혁후에 대하리(大下里)라 하였다. 나주정씨(羅州丁氏)가 많이 살며 나주정씨의 집성마을이 있었던 자리다.

용댕이

용당(龍堂)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용제(龍祭)를 지내는 용왕당이 있어서 용당, 용댕이라고 불렀다.

망월리 (望月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서 이 곳에 있는 망월산(望月山)의 이름을 따서 망월리라 하였다.

선소 (船所)

옛날에 마을에서 배를 만드는 선소가 있었던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신아포 (新牙浦)

신아(新牙), 신아리(新牙里)라고도 부른다. 금강가에 있는 마을로 옛날에 강변에 새로 마을이 생길 때부터 신아포 신아라고 부르다가 신아리라고도 부르게 된 마을이다.

보현리 (保縣里)

원래 옛날 안보 안보현(安保縣)이 있었던 지역으로 조선시대에 안보향(安保鄕)이 되었다가 다시 뒤에 남하면(南下面)의 안뱅이 안보리(安保里)가 되었다.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현명을 보존한다는 뜻에서 보현리라 하였다.

문촌 (文村)

옛날부터 서생이 많았으며 한때 글 읽는 소리가 끊기지 않았던 선비촌 이었다 한다.

창짓굴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라 창짓굴이라고 부른다.

큰터

대덕(大德) 대덕굴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의 역사도 오래된 곳이며 큰 터에 큰 덕을 베푸는 사람들이 많이 배출된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안뱅이

안봉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고려때 안보현(安保縣)이라고 부르는 현의 고을터이고 안보향의 고을터였었다. 마을이 아늑한 자리에 자리해 있다 해서 안뱅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봉명리 (鳳鳴里)

한산군 남상면(南上面)의 지역이었다. 이곳에 있는 봉명산(鳳鳴山)의 이름을 따서 봉명리라 하였다. 한산이씨(韓山李氏)들이 오래토록 뿌리를 내리고 살며 집성마을도 이루고 있다.

망천 (網川)

옛날에는 마을앞으로 냇물이 흐르고 그 냇물을 망천이라고 불렀다. 그 냇물가에 마을이 있으므로 망천이라고 불렀다.

황서배

황새가 우렁을 먹는 형국이라는 황새바위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황새배라고 부른다.

옥포리 (玉浦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옥산(玉山)과 포원(浦元)의 이름을 따서 옥포리라 하였다.

황소매

마을의 지형이 황소를 닮았다는 마을이다.

도루매

포원(浦元)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는 큰 포구였으며 앞으로도 포구가 될 마을이라 해서 포원이라고 부른다.

육원 (陸元)

앞으로 포구를 낀 큰 들이 조성될 지역이라 육원이라고 부른다 한다.

다고니

다고개라고도 부른다. 옛날에는 갯벌이었으나 한 분기점을 이루는 지점으로 넓은 들과 개의 사이에 설 마을이라 다고개 다고니라고 부른다 한다.

와초리 (瓦草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 기와를 구웠던 지역이다. 지새울 와초동(瓦草洞) 지호(芝湖)라 부르던 지역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후에 와초리(瓦草里)가 되었다.

완포리 (完浦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후 완길(完吉)과 기포(岐浦)의 이름을 따서 완포리라 하였다.

거름개

기포(岐浦) 기포리(岐浦里)라고도 부른다. 금강가에 있는 마을로 게(게)가 많으며 곶이 표적이 되므로 기포 기포리 거름개라고 부른다.

월산리 (月山里)

한산군 동하면(東下面)의 지역으로 달고개 아래의 지역이므로 달고개 월령(月嶺)이라 불렀다.1914년 행정구역 개혁후 월산리라 하였다. 남원양씨(南原梁氏)70여호가 집성촌을 이루는 지역이다.

방죽건너

방죽건너에 마을이 있으므로 방죽건너라고 부른다.

방죽안

옛날에 방죽이 있을 때 그 방죽의 안쪽에 마을이 있으므로 방죽안이라고 부른다.

솔너머

소나무밭을 넘어서 자리한 마을이다.

장상리(長上里)

한산군 남상면(南上面)의 지역으로 옥포장(玉浦場) 위쪽이 되므로 장위 장상(場上)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장상리(長上里)라 하였다.

원촌 (元村)

조선시대에 원가(院家)가 있었던 마을이라 원촌(元村)이라고 불렀다.

참나무쟁이

진목(眞木)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참나무정자가 있으므로 진목(眞木)이라고 부른다.

죽산리 (竹山里)

한산군 동하면(東下面)의 지역으로 대매 아래가 되므로 대매 또는 죽산(竹山) 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죽산리라 하였다.

미명굴

면동(棉洞)이라고도 부른다. 목화(木花)가 잘 되는 지역에 마을이 있으므로 면동 변해서 미명굴이라고 부른다.

수막굴

심마동(深馬洞)이라고도 부른다.옛날에 주점이 있어서 주막이 있었던 곳이며 사람도 쉬어가고 말도 쉬어가던 마을이라 한다.

창외리 (昌外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서 남창(南倉)의 밭이 되므로 창의밖 또는 창의외 창외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개혁때에 창외리라 하였다. 양천허씨(陽川許氏)가 많이 거주한다.

남촌 (南村)

조선시대에 한산군의 남창(南倉)이 있었던 마을이라 남촌이라고 부른다.

창의내 (昌儀內)

창의 안쪽에 마을이 있으므로 창의내라고 부른다.

추동리 (楸洞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서 가래나무가 있으므로 가래굴 또는 추동(楸洞)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개혁때에 추동리라 하였다. 나주정씨(羅州丁氏)의 집성마을이 있는 구역이다.

고려장굴

옛날의 고려장지(高麗葬地)가 있었던 마을이라 한다.

구룡목

구룡막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지형이 구렁이의 목처럼 생겼다 해서 구룡목 구룡막이라고 부른다.

능밑

새성굴이라고도 부른다.큰 묘같은 흙무덤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능밑이라고 부른다

댓고개

대나무가 우거진 곳에 마을이 있으므로 댓고개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분텃굴

마을부근에서 분토가 나온다 해서 분텃굴이라고 부른다.

잣골

장곡(長谷) 장곡리(長谷里)라고도 부른다. 고개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조빡굴

표동(瓢洞) 표동리(瓢洞里)라고도 부른다. 마을 지형이 바가지처럼 생겼다 해서 조빡굴 표동이라고 부른다.

팔계 (八桂)

고려때부터 마을에 여덟 그루의 나무가 서 있었다. 우아한 그 나무에 학이날아와서 신선지를 만들었던 마을이라 한다.

화촌리 (花村里)

한산군 동하면(東下面)의 지역으로 지형이 곶으로 되어 있으므로 고지말 또는 화촌(花村)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후 화촌리라 하였다. 나주임씨(羅州林氏)가 많이 살며 100여호의 집성마을도 이룬 곳이다.

나율 (羅栗)

마을지형이 마치 밤송이가 벌어진 형국이라 한다.신라때 이 곳에 낙향한 선비가 그 후 밤나무가 무성하여 사람들이 말하기를 이곳에서 지조있는 선비를 가리켜 밤까시처럼 지조가 있다고 말하였다 한다.

활동리 (活洞里)

한산군 남하면(南下面)의 지역으로 어성산(魚城山)아래가 되므로 수문골 은굴 숭문동(崇文洞) 활동 은동(隱洞)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활동리라 하였다.

복천 (福泉)
마을에 조선시대 인조(仁祖)때의 석학 강학년(姜鶴年)이 마신 샘이 있는데 이 샘물을 마시고 자라면 지조가 굳어지고 절개가 곧아지는 물이라 해서 그 우물을 복천(福泉)이라고 불렀다. 우물 명칭 따라 마을을 복천이라고 했다. 강학년의 호도 복천(福泉)이다.
담당부서 :
화양면
연락처 :
041-950-6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