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다담서천맞춤서비스

다담서천 레이어 닫기

관광

문화관광 이미지
서천, 어디까지 가봤니?

문화관광

일상에 지치고 고민으로 머리가 복잡하다면 서천에서 일상의 작은 쉼표를 찍어보세요

홈페이지

사이버서천군민 서천 혜택을 누리다 사이버 서천 인人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혜택을 누리세요

사이버서천군민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다양한 혜택과 나눔을 실천하세요

홈페이지

조류생태전시관 이미지
가까이에서 보고 즐기고 느끼는

조류생태전시관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자연환경 보전 및 체험교육 학습장 ...

홈페이지 지도보기

한산모시관 이미지
아름다운 우리의 혼 한산모시

한산모시관

우리전통 천연섬유의 우수성과 역사성, 문화적 가치를 느끼고 체험하세요.

홈페이지 지도보기

동백꽃마을 이미지
도시인의 휴식공간

동백꽃마을

갯벌체험, 농촌체험, 농촌문화체험 등 도농간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도시인의 휴식공간을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국립생태원 이미지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

국립생태원

우리의 생태계를 연구하고, 재현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만들어진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농사랑 이미지
작지만 큰 기쁨

농사랑

충남 서천의 특산품과 농산물을 한곳에서 만나는서천군쇼핑몰 농사랑

홈페이지

서천특화시장 이미지
바다향기 가득한 정겨운 공간

서천특화시장

싱싱한 수산물을 만날 수 있는 서천특화시장! 청정갯벌에서 생산되는 수산물로써 수산물 외에 다양한 상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도보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이미지
해양생물자원 부국의 초석!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다양성을 연구하고 해양생물 산업에 대한 기본소재를 확보 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교육

평생학습센터 이미지
봄의마을

평생학습센터

서천군은 학습을 통해 협력하고 성장하는 행복학습도시라는 큰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정보화교육 이미지
교육 함께 나눠요!

정보화교육

지역주민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료 정보화교육 을 연중실시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농업기술센터 이미지
미래 생명농업을 만들어가는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 및 과학영농기술, 농업동향 및 유통마케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후변화교육센터 이미지
미래 환경보존을 위한

기후변화교육센터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과 실천들을 배워나갈 수 있는 기후변화 교육 공간입니다.

홈페이지

서천도서관
지혜와 정보 나눔터

서천도서관

지역주민의 지식 정보욕구를 충족시키 기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천 지역의 유일한 공공도서관이며 문화공간 ...

홈페이지

복지

복지포털 이미지
서천군민의 희망을 채웁니다.

복지포털

맞춤형복지로 어르신, 여성, 청소년, 장애인, 어린이 등 통합 복지 정보를 안내합니다.

홈페이지

자원봉사센터 이미지
당신의 사랑을 이웃에게 전해주세요!

자원봉사센터

보다 질 높은 자원봉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자원봉사자들의 소중한 ‘가치’를 존중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보건소 이미지
주민과 함께 하는 건강 지킴이

서천군보건소

지역주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은 물론 충실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 의료기관입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노인복지관 이미지
노인들이 편안한 공동체를 건설

서천군노인복지관

‘사랑, 행복, 나눔’의 비전으로 서로서로 건강한 행복공동체를 만들어, 사랑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이미지
고객의 꿈와 선택이 존중받는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소박한새로운 꿈을 위해 이용자들의 작은 소리와 마음을 소중히 여기고 귀 기울이는 열린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타

서천군통계 이미지
오늘의 서천

서천군통계

궁굼하지만 쉽게 알 수 없었던 서천의 인구추이, 토지 및 기후 등을 안내해 드립니다,

홈페이지

공공시설사업소 이미지
깨끗한 변화, 더 좋은 서천

공공시설사업소

서천군민의 주민복지 및 건강증진, 체력 단련 등 군민을 위한 안락하고 쾌적한 복지문화를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재난안전대책본부 이미지
재난없는 안전하고 행복한 서천

재난안전대책본부

재난으로부터 군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모든 재난예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홈페이지

맑은물사업소 이미지
맑고 깨끗한 서천의 생명수

맑은물사업소

서천군 맑은물사업소는 군민을 위하여 맑고 깨끗한 수돗물, 맑은 하수처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sns로 서천의 스토리를 공유해 주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우리마을유래

우리면소개 우리마을유래

현재페이지 인쇄

조선시대에는 한산군 하북면(韓山郡 下北面)의 지역으로서 한산군과 임천군의 경계에 놓인 한산군의 면이었다. 인류가 정착하기 시작한 것은 백제이전으로서 백제때부터 상당한 문화의 요람지였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한산모시의 원산지 시장(市場)으로서 각광을 받았으며 일제시대 3.1운동때에는 만세사건으로 많은 인사가 궐기한 지역이기도 하다.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이곳에 있는 마산(馬山)의 이름을 따서 마산면(馬山面) 이라 하였다.

이 곳에는 거주하는 성씨(姓氏)의 대성(大姓)으로서 한산이씨(韓山李氏)를 비롯하여 장수황씨(長水黃氏) 연안차씨(延安車氏) 강릉함씨(江陵咸氏) 남양홍씨(南陽洪氏)가 있으며 그 집성마을과 함께 홍주이씨(洪州李氏) 부안김씨(扶安金氏) 금능김씨(金陵金氏) 해주오씨(海州吳氏) 온양방씨(溫陽方氏)의 집성마을도 있었다.

가양리(嘉陽里)

한산군 하북면(下北面)의 지역으로서 고이바위가 있어 곰말 갬말 갱말이라 부르다가 햇빛 아래의 산수가 아름다우므로 가양(嘉陽)이라고 불렀던 지역이다.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가양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장수황씨(長水黃氏) 30여호와 경주최씨(慶州崔氏) 온양방씨(溫陽方氏) 10여호의 집성마을도 있다.

관포리 (冠浦里)

한산군 상북면(上北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관촌(冠村)과 대포(大浦)의 이름을 따서 관포리라 하였다. 강릉함씨(江陵咸氏) 20여호와 금릉김씨(金陵金氏) 10여호의 집성마을이 있다.

개말

개멀 관촌(冠村)이라고도 부른다. 냇가 강변에 마을이 있으므로 개말,개멀,관포라고 부른다.

구렛들

구례(九禮)라고도 부른다. 큰마을 한쪽에 있으며 예(禮)에 밝은 사람이 살던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한다.

대포 (大浦)

대포리(大浦里)라고도 부른다. 옛날에는 배가 드나들었던 포구이며 풍수설에 따르면 앞으로 많은 배가 왕래할 포구라 대포라고 부른다 한다.

음산말

음산촌(陰山村)이라고도 부른다. 응달쪽에 있는 마을이다.

군간리 (軍干里)

한산군 상북면(上北面)의 지역으로서 한때 군사들이 진을 쳤던 자리라 군간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군간리(軍干里)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금릉김씨(金陵金氏) 해주오씨(海州吳氏) 청주한씨(淸州韓氏)가 집성촌을 이루며 많이 살던 지역이다.

산정말

산정촌(山亭村)이라고도 부른다. 산직집이 있었으므로 산정말 산정촌이라고 부른다

전장말

장군대좌형(將軍大坐形)의 명당이 있다는 전장산(戰場山)이 있으므로 이에 연유해서 그리 부른다.

나궁리 (羅弓里)

한산군 상북면(上北面)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궁(弓)처럼 생겼다 해서 나궁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나궁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금릉김씨(金陵金氏) 해주오씨(海州吳氏)가 많이 산다.

고라기

고라(古羅)라고도 부른다. 신라(新羅) 고려(高麗)때에 두 번 군사들이 진을 쳤던 자리라 한다. 고려때는 고려말기에 왜구들이 약탈하기 위해 침범하였을 때 고려 군사들이 진을 쳤던 자리라 한다.

은적골

은적(隱寂)이라고도 부른다. 세상에 재난이 있어도 항시 조용하기만 한 마을이다. 은적 은적골이라고 부른다.

마명리 (馬鳴里)

한산군 하북면(下北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마산(馬山)과 마명(馬鳴)의 이름을 따서 마명리라 하고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한산이씨(韓山李氏) 교하노씨(交河盧氏)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마산 (馬山)

산모양이 말처럼 생겼으며 마복형(馬伏形)의 명당이 있다는 산높이 120m의 마산아래에 있는 마을이다.

말못골

마지(馬池)라고도 부른다. 마산아래 큰 못이 있는 곳에 마을이 있다 해서 말못골이라고 부르며 마지라고도 부른다.

채약골

채약동(採藥洞)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마을 부근에서 약초가 많이 나온다 해서 채약골 채약동이라고 부른다.

벽오리 (碧梧里)

한산군 상북면(上北面)의 지역으로서 옛날 벼고등나무가 있으므로 벽오소 벽오(碧梧)라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벽오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문화유씨(文化柳氏)와 김해김씨(金海金氏)가 많이 거주한다.

삼월리 (三月里)

한산군 상북면(上北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신월리 반월리 설월리를 병합하여 신월(新月) 반월(半月) 설월(雪月)등 3개리를 병월함으로 삼월리(三月里)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현재는 온 지역이 거의 봉선저수지로 들어갔다.

눈드리

설월(雪月) 설월리(雪月里)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누운 돌이 있어서 눈드리라고 불렀다. 봉선저수지에 메몰되었다.

반월 (半月)

마을 지형이 반달과 같다 해서 반월이라고 부르던 마을이다. 봉선저수지로 들어갔다.

신월 (新月)

새로히 생기던 마을이라 신월이라고 불렀다. 봉선저수지에 들어갔다.

어름시기

봉선저수지로 들어갔다.

소야리 (所也里)

한산군 상북면(上北面)의 지역으로서 푸른 녹지대에 있으므로 소야라 부르던 곳인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 소야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금성나씨(錦城羅氏)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현재는 온 지역의 거의가 봉선저수지로 들어 간 지역이다.

송림리 (松林里)

한산군 동상면(東上面)의 지역으로서 소나무가 많으므로 송림(松林)이라고 불렀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송림리라 하고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광산김씨(光山金氏) 안동권씨(安東權氏)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사당굴

옛날부터 사당이 있었으므로 사당굴이라고 부른다.

송림 (松林)

송용곡(松龍谷) 송용골 송림리라고도 부른다. 소나무가 우거져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시선리 (時仙里)

한산군 상북면(上北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구시(九時)와 선녀동(仙女洞)의 이름을 따서 시선리라 하여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밀양박씨(密陽朴氏)와 광산김씨(光山金氏)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안동권씨(安東權氏)도 많이 거주한다.

무수점

무시점 탑골 탑동(塔洞)이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에 무쇠점이 있었으며 탑이있는 마을이라 무쇠점 무수점 탑동 탑골이라고 부른다.

선녓골

한선녀동(仙女洞)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선녀가 내려와서 놀다 간 마을이라 해서 선녀동 선녓골이라고 부른다.

구시 (九時)

구시리(九時里)라고도 부른다.

신봉리 (新鳳里)

한산군 하북면(下北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신기(新基)와 서봉(棲鳳)의 이름을 따서 신봉리라 하여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충주지씨(忠州池氏)와 광주이씨(廣州李氏)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곰당굴

웅당(熊堂)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신당(神堂)이 있었던 마을이다.

서풍굴

서봉(棲鳳)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뒷산이 봉(鳳)이 깃들을 형국이라 해서 서풍 서풍굴이라고 부른다.

절뜸

옛날에 절이 있었던 마을이라 절뜸이라고 부른다.

신장리 (新場里)

한산군 하북면(下北面)의 지역으로서 새로 장터가 생겼으므로 새장터 신장(新場)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신장리(新場里)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안당리 (安堂里)

한산군 하북면(下北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안민과 팔당의 이름을 따서 안당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홍주이씨(洪州李氏)와 부안김씨(扶安金氏) 각 20여호가 집성마을을 이루는 지역이나 연안차씨(延安車氏)도 많이 정착해 산다.

요곡리 (堯谷里)

한산군 하북면(下北面)의 지역으로서 지대가 낮은 골짜기가 되므로 욧골 또는 요곡(堯谷)이라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요곡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경주최씨(慶州崔氏) 남양홍씨(南陽洪氏)의 집성마을이 있다.

이사리 (梨寺里)

한산군 서상면(西上面)의 지역으로서 배절이 있었으므로 배절 배저울 이사(梨寺)라 부르던 지역이나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이사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한산이씨(韓山李氏)의 집성촌이 있으며 제주고씨(濟州高氏)도 많이 산다.

감저울

옛날에는 들어있던 곳에 마을이 들어서서 감저울이라고 부른다. 옛날에는 그 들에 들감(고염)이 많았던 지역이므로 감들이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감저울이라고 부른다.

석동 (石洞)

돌이 많은 마을이라 석동이라고 부른다.

배저울

이사(梨寺) 배절 배저울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배절이라는 절이 있었던 마을로 또한 일설로는 옛날에 배가 드나들었으므로 배저울이라고 부른다 한다.

지산리 (芝山里)

한산군 상북면(上北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팔지(八芝)와 음산(陰山)의 이름을 따서 지산리라 하고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창녕조씨(昌寧曺氏)가 많이 거주한다.

갈물 (葛勿)

갈무리 갈물리(葛勿里)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 있다는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갈증을 느낀 말이 큰 냇물에서 물을 마시는 형국이라한다. 또한 일설에는 칡뿌리가 많았던 마을이라 한다. 경주이씨(慶州李氏)가 많이 산다.

팔지 (八芝)

한팔지 팔지리(八芝里)라고도 부른다. 풍수설에 따르면 고리형(形)의 명당이 있다는 마을로서 옛부터 피난지 또는 명인들의 낙향지였으므로 그리 부른다 한다.

담당부서 :
마산면
연락처 :
041-950-6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