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다담서천맞춤서비스

다담서천 레이어 닫기

관광

문화관광 이미지
서천, 어디까지 가봤니?

문화관광

일상에 지치고 고민으로 머리가 복잡하다면 서천에서 일상의 작은 쉼표를 찍어보세요

홈페이지

사이버서천군민 서천 혜택을 누리다 사이버 서천 인人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혜택을 누리세요

사이버서천군민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다양한 혜택과 나눔을 실천하세요

홈페이지

조류생태전시관 이미지
가까이에서 보고 즐기고 느끼는

조류생태전시관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자연환경 보전 및 체험교육 학습장 ...

홈페이지 지도보기

한산모시관 이미지
아름다운 우리의 혼 한산모시

한산모시관

우리전통 천연섬유의 우수성과 역사성, 문화적 가치를 느끼고 체험하세요.

홈페이지 지도보기

동백꽃마을 이미지
도시인의 휴식공간

동백꽃마을

갯벌체험, 농촌체험, 농촌문화체험 등 도농간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도시인의 휴식공간을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국립생태원 이미지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

국립생태원

우리의 생태계를 연구하고, 재현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만들어진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농사랑 이미지
작지만 큰 기쁨

농사랑

충남 서천의 특산품과 농산물을 한곳에서 만나는서천군쇼핑몰 농사랑

홈페이지

서천특화시장 이미지
바다향기 가득한 정겨운 공간

서천특화시장

싱싱한 수산물을 만날 수 있는 서천특화시장! 청정갯벌에서 생산되는 수산물로써 수산물 외에 다양한 상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도보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이미지
해양생물자원 부국의 초석!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다양성을 연구하고 해양생물 산업에 대한 기본소재를 확보 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교육

평생학습센터 이미지
봄의마을

평생학습센터

서천군은 학습을 통해 협력하고 성장하는 행복학습도시라는 큰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정보화교육 이미지
교육 함께 나눠요!

정보화교육

지역주민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료 정보화교육 을 연중실시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농업기술센터 이미지
미래 생명농업을 만들어가는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 및 과학영농기술, 농업동향 및 유통마케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후변화교육센터 이미지
미래 환경보존을 위한

기후변화교육센터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과 실천들을 배워나갈 수 있는 기후변화 교육 공간입니다.

홈페이지

서천도서관
지혜와 정보 나눔터

서천도서관

지역주민의 지식 정보욕구를 충족시키 기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천 지역의 유일한 공공도서관이며 문화공간 ...

홈페이지

복지

복지포털 이미지
서천군민의 희망을 채웁니다.

복지포털

맞춤형복지로 어르신, 여성, 청소년, 장애인, 어린이 등 통합 복지 정보를 안내합니다.

홈페이지

자원봉사센터 이미지
당신의 사랑을 이웃에게 전해주세요!

자원봉사센터

보다 질 높은 자원봉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자원봉사자들의 소중한 ‘가치’를 존중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보건소 이미지
주민과 함께 하는 건강 지킴이

서천군보건소

지역주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은 물론 충실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 의료기관입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노인복지관 이미지
노인들이 편안한 공동체를 건설

서천군노인복지관

‘사랑, 행복, 나눔’의 비전으로 서로서로 건강한 행복공동체를 만들어, 사랑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이미지
고객의 꿈와 선택이 존중받는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소박한새로운 꿈을 위해 이용자들의 작은 소리와 마음을 소중히 여기고 귀 기울이는 열린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타

서천군통계 이미지
오늘의 서천

서천군통계

궁굼하지만 쉽게 알 수 없었던 서천의 인구추이, 토지 및 기후 등을 안내해 드립니다,

홈페이지

공공시설사업소 이미지
깨끗한 변화, 더 좋은 서천

공공시설사업소

서천군민의 주민복지 및 건강증진, 체력 단련 등 군민을 위한 안락하고 쾌적한 복지문화를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재난안전대책본부 이미지
재난없는 안전하고 행복한 서천

재난안전대책본부

재난으로부터 군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모든 재난예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홈페이지

맑은물사업소 이미지
맑고 깨끗한 서천의 생명수

맑은물사업소

서천군 맑은물사업소는 군민을 위하여 맑고 깨끗한 수돗물, 맑은 하수처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sns로 서천의 스토리를 공유해 주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우리마을유래

우리면소개 우리마을유래

현재페이지 인쇄

조선시대이전(朝鮮時代以前)에는 인적이 드물었던 해안지대였다.

비인현(庇仁懸)의 서쪽이 되므로 서면(西面)이라고 불렀으나 그 보다 조선시대 세종(世宗) 이후에는 도두음곶(都豆音串)으로 알려졌던 지역이다. 마을의 형성도 고려시대로 보며 집성마을 즉 씨족이 모여 사는 마을의 형성은 400년전으로 주축하는 지역이다. 1600년 후반기부터 수군의 진영 즉 마량진(馬梁鎭)이 태동되면서 갑자기 급속도로 정착인구가 늘어났던 지역이다.

집성마을 대성(大姓)으로는 김녕김씨(金寧金氏) 경주이씨(慶州李氏) 진주강씨(晋州姜氏)가 있으며 청주한씨(淸州韓氏) 해주최씨(海州崔氏)도 그 뒤를 이은다. 서면에는 김녕김씨 380여호 경주이씨 300여호 진주강씨 100여호 해주최씨 50여호 청주한씨가 30여호 잔재해서 집성마을을 이루고 있다.

개야리 (介也里)

조선시대말기에는 비인군 서면(西面)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개의 목처럼 생겼으므로 개목 또는 개야목 개묵이라 불렀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개야리(介也里)라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김녕김씨(金寧金氏)가 많이 살며 그 집성마을과 해주오씨(海州吳氏)의 집성마을도 있다.

금배

금암(金岩) 금바위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금바위라고 부르는 바위가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난말

마을이 큰마을 바깥쪽에 있으므로 난말이라고 부른다.

모시래

마을이 모래사장을 끼고 있어서 모시래 모시래라고 불러온다.

도둔리 (都屯里)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서 군사가 주둔하였던 곶이므로 도둠곶 도둔고지 도두음곶 도둔(都屯)이라고 불렀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도둔리라 해

분말

합전 북쪽에 있는 마을이다. 이 지역에서 오래된 마을집이 있어서 구말이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분말이라고 부른다.

모간나다리

합전 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물이 쓰면 튀어나오는 섬이 있고, 물이 들어오면 물속에 잠기는 섬이 있는 즉 모래톱이 있는 마을이라 모간나다리라고 부른다.

원두리 (元頭里)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서 산형의 머리쪽이 되므로 원두리(元頭里) 원두(元頭)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원두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광주안씨(廣州安氏) 연일정씨(延日鄭氏)의 집성마을도 있었다.

당너머

당제를 지내는 신당너머에 마을이 있으므로 당너머라고 부른다.

매재

옛날부터 매가 많이 날아드는 산아래 마을이 있으므로 매재라고 부른다.

벌뚝

들판 뚝근처에 마을이 있으므로 벌뚝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재뜸

언덕아래 즉 재(재)를 끼고 마을이 있으므로 재뜸이라고 부른다.

칠성바위

칠성암(七星岩)이라고도 부른다. 칠성바위라는 바위가 있는 마을이라 칠성바위 칠성암 이라고 부른다.

월리 (月里)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서 지형이 달(산)의 목처럼 생겼으므로 달목 다리목 또는 월항(月項) 월항리(月項里)라 불렀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월리(月里)라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김녕김씨(金寧金氏)의 집성마을과 전주이씨(全州李氏)의 집성마을도 있다.

선녘동내

아래뜸이라고도 부른다. 달목아래에 마을이 있으며 서쪽에 마을이 있으므로 서녘동내 선녘동내라고 부른다.

안태

마을 안쪽에 새로 생긴 마을이라 안태라고 부른다.

월호리 (月湖里)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월하(月下)와 호동(狐洞)을 이름을 딸 때 호(狐)를 호(湖)로 고쳐서 월호리라 하여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진주강씨(晋州姜氏) 40여호의 집성마을이 있다. 이곳에 정착한 진주강씨의 중시조는 강선도(姜善道)이고 14대 400여년을 거주하는 성씨다.

화동 (禾洞)

벼가 잘 되는 마을이라 화동이라고 부르고 옛날 숯을 구었던 마을이라 숯굴 이라고도 부른다.

월하성 (月下城)

월하성(月下城)이라고도 부른다. 달빛아래 신선이 노는 것 같은 마을이라 해서 신성지로 꼽히던 마을이다.

큰장굴

장동(長洞)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길게 퍼져있다 해서 장동 큰마을이라 큰장굴이라고 부른다.

호동 (狐洞)

호동(湖洞)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옛날에는 여우가 많이 살았던 마을이라 한다.

주항리 (酒缸里)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서 이곳은 수렁이 많았고 마을 지형이 술 항아리 같다 하여 주항동(酒缸洞) 또는 수항골 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주항리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이곳은 청주한씨(淸州韓氏) 시조로부터 18세손 한흥운(韓興雲) 휘(諱) 낙향하여 청주한씨의 집성촌으로 400여년 간 거주하는 대성 마을이다.

값진모랭이

갑진모랭이란 뜻은 마을에 있는 모롱이의 산명이다. 조선시대에 군사가 주둔할 때에 갑 을 병진을 나눌 때 감지로 택해서 갑진(甲鎭)이라고 부르던 모롱이의 산부근에 마을이 생기므로 그리 부르게 된 마을이다.

유포

귀내 공암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앞에 포구가 있으며 바위가 있고 바다 안쪽에 마을이 있으므로 귀내 공암 유포라고 부른다.

새암구석

마을이 한편 구석진 곳에 있으며 좋은 샘이 있으므로 새암구석 정동(井洞)이라고 부른다.

틈개

탄동(綻洞) 홍원이라고도 부른다. 바다를 끼고 앞이 넓게 트인 곳에 마을이 있으므로 틈개 탄동 홍원이라고 부른다.

창미끝

동북쪽에서 내려오는 푸른 산의 끝에 있다는 산이 창미끝이라고 부르는 산이고 그 산이 있는 마을이라 창미끝이라고 산명따라 부르는 마을이다.

마량리 (馬梁里)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서 조선시대말기 효종(孝宗) 7년(1656)에 남포현에 있던 마량진을 이곳에 옮겨 왔으므로 마량진 또는 마량이라고 부르게 된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마량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기계유씨(杞溪兪氏)의 집성촌이 있으며 경주최씨(慶州崔氏)의 집성마을도 있었다.

안도둔

내도둔(內都屯)이라고도 부른다. 도둔마을 안쪽에 마을이 있으므로 그리 부른다.

마량(馬梁)

조선시대에 마량진이 있던 마을이다.

부사리 (扶士里)

비인군 서면의 지역으로서 은자(隱者)들이 탐내는 곳이라 하여 부사먼이라고 부르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부사리라 해서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장수황씨(長水黃氏) 경주이씨(慶州李氏)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부사먼

일명 부사리라고도 부른다. 조선시대 세조(世祖)때부터 자주 일어나는 사화때마다 선비들이 한양을 버릴 때 탐내던 지역으로 전원에 묻히는 선비들이 이곳에 머물르면 화를 입지 않는다 하여 속칭 은자들이 탐내는 지역이라 부사먼이라고 부른다.

장잣골

옛날에 장자가 살았다 해서 장잣골이라고 부른다.

신합리 (新蛤里)

비인군 서면의 지역이었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신촌(新村)과 합전(蛤田)의 이름을 따서 신합리라 하여 서천군에 편입되었다. 해주최씨(海州崔氏)와 나주나씨(羅州羅氏) 10여호의 집성마을이 있다. 경주최씨(慶州崔氏)도 많이 산다.

선도래

선돌(先乭)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 변하여 선도래라고도 부른다.

합전 (蛤田)

옛날에는 마을앞까지 조수가 드나들어 조개가 많았다 해서 합전이라고 부른다.

갓굴

마을 가에 마을이 있으므로 갓굴이라고 부른다.

건네말

들건너에 마을이 있으므로 건네말이라고 부른다.

송림터

옛날에 소나무숲이 우거졌던 자리에 마을이 생겼으므로 송림터라고 부른다.

배다리

주교(舟橋)라고도 부른다. 옛날에는 배가 정박했던 곳에 마을이 생겼으므로 배다리 주교라고 부른다.

담당부서 :
서면
연락처 :
041-950-65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