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메뉴 바로가기

태극기 이미지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다담서천맞춤서비스

다담서천 레이어 닫기

관광

문화관광 이미지
서천, 어디까지 가봤니?

문화관광

일상에 지치고 고민으로 머리가 복잡하다면 서천에서 일상의 작은 쉼표를 찍어보세요

홈페이지

사이버서천군민 서천 혜택을 누리다 사이버 서천 인人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혜택을 누리세요

사이버서천군민

사이버서천군민이 되어 다양한 혜택과 나눔을 실천하세요

홈페이지

조류생태전시관 이미지
가까이에서 보고 즐기고 느끼는

조류생태전시관

자연생태계를 체계적으로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해 자연환경 보전 및 체험교육 학습장 ...

홈페이지 지도보기

한산모시관 이미지
아름다운 우리의 혼 한산모시

한산모시관

우리전통 천연섬유의 우수성과 역사성, 문화적 가치를 느끼고 체험하세요.

홈페이지 지도보기

동백꽃마을 이미지
도시인의 휴식공간

동백꽃마을

갯벌체험, 농촌체험, 농촌문화체험 등 도농간의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도시인의 휴식공간을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국립생태원 이미지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

국립생태원

우리의 생태계를 연구하고, 재현하여 보여주기 위하여 만들어진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공간이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농사랑 이미지
작지만 큰 기쁨

농사랑

충남 서천의 특산품과 농산물을 한곳에서 만나는서천군쇼핑몰 농사랑

홈페이지

서천특화시장 이미지
바다향기 가득한 정겨운 공간

서천특화시장

싱싱한 수산물을 만날 수 있는 서천특화시장! 청정갯벌에서 생산되는 수산물로써 수산물 외에 다양한 상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도보기

국립해양생물자원관 이미지
해양생물자원 부국의 초석!

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해양생물자원에 대한 다양성을 연구하고 해양생물 산업에 대한 기본소재를 확보 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교육

평생학습센터 이미지
봄의마을

평생학습센터

서천군은 학습을 통해 협력하고 성장하는 행복학습도시라는 큰 꿈을 실현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정보화교육 이미지
교육 함께 나눠요!

정보화교육

지역주민들의 컴퓨터 활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료 정보화교육 을 연중실시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농업기술센터 이미지
미래 생명농업을 만들어가는

농업기술센터

친환경농업 및 과학영농기술, 농업동향 및 유통마케팅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후변화교육센터 이미지
미래 환경보존을 위한

기후변화교육센터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 문제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력과 실천들을 배워나갈 수 있는 기후변화 교육 공간입니다.

홈페이지

서천도서관
지혜와 정보 나눔터

서천도서관

지역주민의 지식 정보욕구를 충족시키 기기 위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천 지역의 유일한 공공도서관이며 문화공간 ...

홈페이지

복지

복지포털 이미지
서천군민의 희망을 채웁니다.

복지포털

맞춤형복지로 어르신, 여성, 청소년, 장애인, 어린이 등 통합 복지 정보를 안내합니다.

홈페이지

자원봉사센터 이미지
당신의 사랑을 이웃에게 전해주세요!

자원봉사센터

보다 질 높은 자원봉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하고, 자원봉사자들의 소중한 ‘가치’를 존중합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보건소 이미지
주민과 함께 하는 건강 지킴이

서천군보건소

지역주민의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은 물론 충실한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보건 의료기관입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노인복지관 이미지
노인들이 편안한 공동체를 건설

서천군노인복지관

‘사랑, 행복, 나눔’의 비전으로 서로서로 건강한 행복공동체를 만들어, 사랑과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이미지
고객의 꿈와 선택이 존중받는

서천군장애인종합복지관

소박한새로운 꿈을 위해 이용자들의 작은 소리와 마음을 소중히 여기고 귀 기울이는 열린복지관이 되겠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기타

서천군통계 이미지
오늘의 서천

서천군통계

궁굼하지만 쉽게 알 수 없었던 서천의 인구추이, 토지 및 기후 등을 안내해 드립니다,

홈페이지

공공시설사업소 이미지
깨끗한 변화, 더 좋은 서천

공공시설사업소

서천군민의 주민복지 및 건강증진, 체력 단련 등 군민을 위한 안락하고 쾌적한 복지문화를 조성하는데 노력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재난안전대책본부 이미지
재난없는 안전하고 행복한 서천

재난안전대책본부

재난으로부터 군민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도록 모든 재난예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겠습니다.

홈페이지

맑은물사업소 이미지
맑고 깨끗한 서천의 생명수

맑은물사업소

서천군 맑은물사업소는 군민을 위하여 맑고 깨끗한 수돗물, 맑은 하수처리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지도보기

sns로 서천의 스토리를 공유해 주세요.

페이스북 트위터 블로그

우리마을유래

우리면소개 우리마을유래

현재페이지 인쇄

천방산(千房山)기슭아래 길산천(吉山川)과 도마천(渡馬川)이 흐르는 서천평야 기름진 땅의 이 지역은 풀이 많아 초리(새울)이라 불렀고 초리의 이름을 따서 초처면(草處面)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시왕면(時旺面)의 11개 동리와 문장리의 일부를 통합하고 시왕(時旺)과 초처(草處)의 이름을 따서 시초면(時草面)이라 하였다.

면내에 거주하는 대성(大姓)으로는 평해구씨(平海丘氏) 남포백씨(藍浦白氏) 안동장씨(安東張氏) 나주나씨(羅州羅氏)가 있으며 집성촌이 형성되어 있었다.

봉선리 (鳳仙里)

서천군 시왕면(時旺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봉암(鳳岩)과 선돌(仙乭)의 이름을 따서 봉선리라 하였다. 남포백씨(藍浦白氏)가 집성마을을 이루고 있다.

봉암 (鳳岩)

마을에 부엉바위가 있으므로 봉암이라고 부른다. 그 바위에 오래토록 부엉이가 살았다 한다.

선돌 (仙乭)

마을에 선돌이 있으므로 선돌이라고 부른다.

지장 (支壯)

마을에 지장풀이 무성했다 해서 지장이라고 부르게 된 마을이다.

선동리 (仙東里)

서천군 문장면(文章面)의 지역으로서 신선이 글을 읽는 선인독서형(仙人讀書形)의 지형이라 하여 선동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선돌리라하였다. 나주나씨(羅州羅氏)의 집성마을이 있는 지역이다.

고여 (古余)

이씨조선의 개국과 함께 불사이군(不事二君)의 한 고려선비가 이 곳에 산막을 짓고 지조를 지킨 마을로서 옛부터 선비의 마을이라 고여라고 부른다.

버재울 유지(柳枝)

유지리(柳枝里)라고도 부른다. 옛날부터 버드나무가지가 우거졌던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한강 (漢崗)

한강리(汗江里)라고도 부른다. 심할 때 위쪽은 물이 흐르지 않아도 땅속에는 물이 흐른다 해서 마음이 깊은 사람이 모여사는 마을이라 그리 부르게 되었다 한다.

선동 (仙東)

지형이 선인이 글을 읽는 선인독서형이라 선동이라고 부른다.

선암리 (仙岩里)

서천군 문장면(文章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선동(仙洞)과 생암(生岩)의 이름을 따서 선암리라 하였다.

갈머리

갈마(葛馬)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갈마음수형(渴馬飮水形)의 명당이 있다 해서 갈마 갈머리라고 부른다.

그절매

마을을 둘러싸고 있는 산의 형국이 꼭 게(게)가 엎드린 형국이라 처음에는 그이매라고 부르다가 변하여 그절매라고 부른다 한다.

생바위

생바위라고도 부른다. 마을앞에 있는 한산이씨의 선산 그 아래에 바위가 있는데 이 바위를 생바위라고 부른다. 바위는 밤이면 변했다가 아침이면 다시 제자리 모습으로 변하는 형태라는 전설이 있는데 그 생바위 명칭따라 생바위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신틀매

갑오 동학난때 관군에게 몰린 동학도들이 이 곳에 쫓겨와서는 땅이 질어서 신을 벗어들고 피해갔던 곳에 마을이 생기면서 신틀매라고 부르게 되었다 한다.

와룡구지

와룡(臥龍)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곶으로 되어있으며 용이 승천한 마을이라 한다.

신곡리 (新谷里)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혁 개혁때에 신기(新基)와 지곡(紙谷)의 이름을 따서 신곡리라 하였다.

거리고개

옛날에는 장꾼들이 지나는 거리고개라는 그 고개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고개 지명 따라 거리고개라고 부른다.

바우재

귀여말 구정(九丁)이라고도 부른다. 지형이 거북처럼 생겼다 해서 구정(龜丁)이라고 부르다가 구정(九丁)이라고 부르며 마을 뒷산에 큰 바위가 있는데 마을에서 위하는 바위임으로 바우재라고도 부른다.

분툿골

마을에서 분토(粉土)가 나옴으로 분툿골이라고 부른다.

은행정

마을에 은행나무가 있었으므로 은행정이라고 부른다.

지곡 (紙谷)

지곡(芝谷)이라고도 부른다. 마을 부근에 당나무도 많았으며 종이를 만드는 곳이 있는 마을이다 지곡이라고 부르는 마을이다.

유산말

마을 부근에 버드나무가 우거져 있어서 마을이 신선지처럼 보였다 한다.

신흥리 (新興里)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의 지역으로서 풀이 우거져 있으므로 새울 또는 초리(草里)라 하였던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신흥리라 하였다.

돌다리

석교(石橋)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돌다리가 있었으므로 그리 부른다.

새울

초리(草里)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새초(풀)가 많았으므로 그리 부른다.

용곡리 (龍谷里)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용구리(龍九里)와 당곡리(堂谷里)의 이름을 따서 용곡리라 하였다. 평해구씨(平海丘氏)의 집성마을이 있었다.

당골

당곡(堂谷)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신당(神堂)이 있었으므로 당골 당곡이라고 부른다.

무능골

일제시대에 몽고풍(蒙古風)의 묘가 있어서 발굴작업을 펼쳤던 마을로 옛날부터 이상한 묘가 있다 해서 무능골이라고 불러왔다 한다.

부용 (芙蓉)

마을지형이 부용꽃 같다 해서 부용이라고 부른다.

알뫼

한떄는 학이 날라들었던 마을로서 마을지형이 둥근 뫼처럼 생겼다 해서 알뫼라고 부른다.

용구지 (龍九地)

용구리(龍九里)라고도 부른다. 용처럼 생긴 못이 있으며 용이 하늘로 승천한 마을이라 용구지 용구리라고 부른다.

초현리 (草峴里)

서천군 초처면(草處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천초(千草)와 홍현(紅峴)의 이름을 따서 초현리라 하였다. 평해구씨(平海丘氏)와 안동장씨(安東張氏)의 집성마을이 있다.

구억뜸

구석진 곳에 마을이 있으므로 구억뜸이라고 부른다.

돌고개

석현(石峴)이라고도 부른다. 돌이 많은 돌고개 아래에 마을이 있으므로 돌고 개 석현(石峴)이라고 부른다.

맹매뜸

땅이 기름져서 봉사가 농사를 지어도 수확이 오른다는 전답에 놓인 마을이다. 맹매뜸이라고 부른다 한다.

천방굴

천방동(千房洞)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천방사라는 절이 있었던 마을이라 천방굴 천방동이라고 부른다.

천초 (千草)

뒷굴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큰 마을의 뒤쪽에 있으며 약초와 같은 풀이자라는 마을이라 천초라고 부르고 뒷굴이라고도 부른다.

초막굴

초막(草幕)이라고도 부른다. 또한 초막동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처음 탄생할때에 초막으로부터 시작된 마을이라 초막굴,초막,초막동이라고 부른다.

홍현 (紅峴)

마을 지형이 기러기처럼 생겼다는 마을로 마을부근에서 옛날부터 빨간 흙이 많이 나왔다 해서 홍현이라고 부른다.

태성리 (台城里)

서천군 시왕면(時旺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이곳에 있는 태성(台城)의 이름을 따서 태성리라 하였다.

수왕굴

수왕(水旺)이라고도 부른다. 마을과 마을부근에 물이 많으므로 수왕굴 수왕이라고 부른다.

주절 (注切)

옛날에는 물을 구하기가 어려울 때도 주절이라고 불러오던 마을이다. 그후 저수지가 생겨서 물을 풍부하게 쓸수 있게 되어 옛날의 말이 오늘에 꼭 들어맞았다는 주절의 명칭을 높이 사는 마을이다.

냉갱이

옛날 심한 한발에도 냉이가 많아서 어려운 고비를 몇번이고 넘겼다는 마을이라 냉갱이라고 부른다.

풍정리 (豊亭里)

서천군 시왕면(時旺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풍동(豊洞)과 행정(杏亭)의 이름을 따서 풍정리라 하였다.

신굴

풍동(楓洞,豊洞)이라고도 부른다. 옛날에 신나무가 많았던 마을이라 그리 부른다.

유산 (柳山)

유산리(柳山里)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수양버들이 많았을 때 유산 유산리라고 불러오던 마을이다.

행정 (杏亭)

행정리(杏亭里) 으능정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에 큰 은행나무가 있었으므로 행정 행정리 으능정이라고 부른다.

후암리 (厚岩里)

서천군 시왕면(時旺面)의 지역으로서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에 후동(厚洞)과 유도암(有道岩)의 이름을 따서 후암리라 하였다.

뒷굴

후동(後洞)이라고도 부른다. 마을이 마을 뒤편에 자리 하였으므로 뒷굴 후동이라고 부른다.

유독바위

소의 머리처럼 생긴 바위근처에 마을이 있으므로 유독바위라고 부른다. 또한 유도암(有道岩)이라고도 부른다.

용두정 (龍頭亭)

마을 지형이 용의 머리처럼 생겼다 해서 용두정이라고 부른다.

안텃굴

마을이 그 안쪽으로 자리해 있다 해서 안텃굴이라고 부른다.

담당부서 :
시초면
연락처 :
041-950-6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