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동리 새뜰마을사업 종료되었습니다.
새뜰마을사업 추진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합니다.
새뜰마을사업 종료후 나의 고향, 우리 마을 계동리에 반드시 가봐야 할 추천명소 10선 입니다.
1. 계동리 체험숙소 신축 인근 도로(53-1~54-2)
훼어진 전봇대 보세요. 다른곳에서는 볼수 없는
우리 마을의 자랑입니다.
2. 계동리 구00 창고진입로 즉 53-1마을안길도로가
새뜰마을사업 하기전에는 직선도로 였는데 이번에
새뜰마을사업 하면서 S자 굽은도로 만들어서 차량
다니기 불편하게 만들었습니다. 왜 이렇게 만들었는지
궁금하네요. 아시는 분은 답을 주세요.
3. 53-2~53-4, 65,66,66-2 304-4,304-5
연하는 토지경계선에 철조망과 말뚝, 무슨말인지
모르는 푯말, 너부러진 비닐끈 등... 철조망은 휴전선에만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마을 이곳에도 설치되어 있습니다.
4. 계동리에 체험숙소 5동과 체험농장 조성된 체험농장 견학해 보세요. 봄에는 호랑이콩 심어요. 그것도 마을주민
00가 심어서 드셔요. 그래야 민원 안들어온데요.
체험농장이라고... 체험숙소에 사는사람도 있는데
왜 그분들은 텃밭도 가꾸지 않을까요?
궁금히시죠? 저는 그 이유를 알고 있습니다.
5. 19년 신축한 체험숙소 부지는 기존에 전과 묘지
였는데 모두 대지로 지목변경 하였습니다. 체험숙소
신축 후 남은 부지 가보세요.
서천군에서 예산지원받아 황토길과 체육시설, 벤치설치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목장되었습니다. 그리고 황토길은 풀을 걷어 보면 흔적있고 다음이나 네이버 로드뷰
들어가면 자세히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체육시설은 풀밭에 숨어 있고 벤치는 한곳에 모아져
00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지금도 누군가를 애타게 기다리는 나무조각
황새만 불철주야 외롭게 서 있습니다.
국민의 세금이 이렇게 쓰여졌습니다.
6. 계동리 마을교회 인근 147번지 빌라사이에 성곽처럼
축대 신축했습니다. 무너질 염려도 없는데 창대하게
콘크리트로 쌓았습니다. 진입로도 포장했어요.
기존보다 낮게 있는 밭을 복토했어요. 이것도 기존과
비교하세요. 다음이나 네이버 들어가서 로드뷰 보세요.
잘나옵니다.
7. 계동교회에서 출발하여 마을안길 도로끝까지
가보세요. 가보시면 느낀점 있을 것입니다.
느끼신 그대로 입니다.
8. 마을회관에 국기봉에 설치한 태극기 보십시요.
빛바래고 찢거진 태극기가 오래전 부터 게양되어
있습니다. 누가 이런것을 보고 교체해야 되나요.
찢어진 태극기 사진촬영하여 놓았습니다.
저는 대한민국 국민이 된 것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계동리는 다른곳에 너무 집중하지 말고 국기를 사랑해야
겠습니다.
9. 54주변 창고진입로 보십시요. 다른곳은 도로가
넓지 않은데 이곳만 유독히 넓습니다.
과거는 1개 차선이라 교행차선으로 쓴다고 할 수
있지만 지금은 2차선 도로인데 이렇게 까지
넓게 포장한 이유가 무엇일까요?
다른곳은 예산이 없다며 공사가 안해 준다고
민원넣고 있다고 하는데...
내년 봄에는 이곳에서 야외공연 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 다목적 야외 공연장으로
사용할 것을 건의드립니다.
10. 53-1 국토정보공사에서 자비로 측량 후
자신있게 위성 띄워놓고 도근점 측량하여 지적재조사사업시 측량한 것과 동일하다고 자랑스럽게 설명해 놓고
기존 측량한 경계표시 말뚝을 찾아 항의하니 사무실
들어가서 확인해야 한다고 부인하다가 일주일만에
잘못을 인정하고 환불해 주었습니다.
현장에 서천군 공무원, 국토정보공사, 현장직원들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언덕위로 철조망 설치된 경계를
가보시면 경계표시 말뚝이 파란색, 빨간색 횟갈리게
박혀 있습니다. 재미있는 것은 측량한 빨간색
말뚝이 앞에도 있고 바로 뒤에도 있습니다.
잘 이해안되죠!!! 현장에 가보셔야 되요!!!
마서면 계동리에 반드시 와 보셔야 합니다.
와보시면 보신대로 느낀대로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