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쇄' 앞둔 서천화력 협력업체노조 "인력이동 순차적으로 해야"
(서천=연합뉴스) 이은중 기자 = 정부의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일시 가동중단 방침과 관련해 서천화력 1·2호기 협력업체 노조는 31일 "정부 방침대로 하면 직원들이 자녀 양육 부담과 생계 걱정 등 현실에 내몰리게 된다"며 "발전소 내 협력사 직원들이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방침을 9월까지 보류해 달라"고 요청했다.
한전산업개발노조 서천지회와 한전KPS노조 서천지부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 "다음 달부터 서천화력이 폐쇄됨에 따라 회사(협력업체)가 소속 직원을 당진, 태안, 삼척 등 다른 사업처로 가서 일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며 "서천화력 협력사 직원들의 연고지를 고려해 신서천화력 완공 시 관련 업무를 할 수 있도록 약속해 달라"고 촉구했다.
현재 서천화력발전소에는 5개 협력사 직원 250여명이 발전소 유지·보수와 청소·경비 등의 업무를 하고 있다.
서천화력발전소 1·2호기는 다음 달 1일부터 시설 노후로 이유로 영구 문을 닫는다. 대신 인근에 신서천화력발전소가 2020년 9월 준공. 가동된다.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017/05/31 10:29 송고
[서천화력 1,2호기 조기 폐쇄 관련 협력업체 노동조합 입장]
정부의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정책에 맞춰 서천화력발전소 1,2호기가 6월 1일자로 조기폐쇄됐다.
미세먼지 감축 등을 위한 정부의 이 같은 정책에 노조는 환영한다.
하지만, 미세먼지 감축 시행과 함께 문재인 대통령이 내놓은 일자리 창출과 반대로 실직에 내몰리는 서천화력 1,2호기 협력업체 종사자들이 있다.
서천화력 1,2호기에는 236명의 협력업체 종사자들이 그동안 미세먼지를 뒤집어쓰며 안전한 발전소를 유지하기 위해 노고를 아끼지 않았다.
이 가운데 대부분 서천군민이고 부모와 자녀를 부양하는 가장이다.
서천화력 폐쇄로 협력업체는 당진, 태안, 삼척, 동해, 여수, 삼천포, 하동사업처 등으로 전출을 요구하고 있다.
생계 빠듯한 연봉에 타 사업소 발령은 출.퇴근은 물론 고향인 서천군을 버리고 이사를 한다는 것도 엄두를 못 내고 있다.
타 사업소 발령이라는 겉모습만 치장한 포장에 우리 노동자들은 제도권 밖으로 밀려나 당장 실직해야하는 상황이다.
발전 사업소의 부당한 전시 행정 추진은 노동자들의 의사를 무시한 것이며, 또 다른 사회적 문제인 것이다.
한국중부발전과 서천군은 책임만 회피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는 당장 자녀 양육 등의 경제적 부담에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현실에 몰려야 한다.
우리는 요구한다.
하나. 서천화력내 협력사 직원들이 순차적인 인력 이동이 될 수 있도록 9월까지 보류하라.
하나. 서천화력내 협력사 직원들의 연고지를 고려한 신서천화력 완공시 현 업무에 대한 수의계약을 통한 복귀를 약속하라.
하나. 서천화력발전소 폐쇄에 따른 협력사 직원들의 사후대책을 마련하라.
한전산업개발노동조합 서천지회 위원장 박종민
한전KPS 노동조합 서천지부 위원장 신민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