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천특화시장의 상인회 내분사태의 본질과 배경이 백일하에 드러났습니다.
그동안 침묵으로 일관해 오던 상인들이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은 ‘임시시장 입점점포 위치배정 문제’였습니다. 여기에서 상인회에 대한 불신이 시작되었답니다.
상인들에게 있어서, 점포의 위치는 생사가 달린 문제입니다. 대로변의 고객 왕래가 잦은 점포는 누구나 선호하고, 골목길안에 쳐박혀 인적이 드문 점포는 불리합니다.
점포의 위치가 그만치 중요하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입니다.
서천특화시장이 화재참사로 전소되어, 막구조형태의 ‘임시시장’을 개설하고, 상인들을 입점시키면서 서천군청이 ‘임시시장 사용허가’를 했습니다. 이때 점포의 위치를 서천군 공무원들이 직접 정해서 공정하게 배치했더라면, 오늘날의 불상사를 초래하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점포 위치선정 추첨을 경찰관 입회하에 공무원들이 주관했더라면, 상인들의 불만은 없었겠지만, 서천군청이 입점상인들의 점포위치 배정권을 ‘상인회’에 부여하면서 사단이 났습니다. 상인회나 비상대책위원들도 똑같이 임시시장에서 장사를 해야 하는 상인들입니다. 누구나 공정성을 기대하기가 벅차 보인다고 생각할 것이고…..
상인들의 주장은 입점 추첨이 끝나고 점포를 배정받고 나니, 확률상 있을 수 없는 일이 벌어졌다는 것입니다. 소위 ‘노른자위’라는 출입구 주변이나, 장사가 잘되는 위치는 특정인들이 독점했고, 심지어 추첨 이전에 일부 점포는 입점자가 미리 정해져 있었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물론 자리배정 제비뽑기를 시행한 측에서는 "모든 입점예정상인들의 입회하에 공정하게 추첨으로 결정했다. 한 점의 의혹도 발생할 수 없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소위 '비상대책위원회'라는 권한 없는 단체에 시장 점포배치 결정권을 부여한 서천군의 과실이 매우 커 보입니다.
공설시장인 서천특화시장에서 점포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고, 점포의 위치는 ‘밥줄’과 관련된 사안인데, 어떻게 입점대상상인들로 구성된 ‘상인회’에 결정권을 줄 수 있냐는 것입니다.
시장사용허가를 내주는 서천군에서 공무원들이 직접 경찰관 입회하에 ‘자리뽑기’를 했어야 맞지 않을까요?
결론적이지만, 군수님깨서 직접 임시시장을 가보십시오. 기가 막힙니다. 100%는 아니지만 일부 ‘노른자’점포는 누가 차지하고 있는 지 확인해 보십시오. 확률상 있을 수 없는 일이잖습니까?
이렇게 아무런 근거나 권한이 없는 ‘상인회’에 점포 배정권을 준 사람은 누구이며,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 지 확인해 주십시오. 항간의 소문대로 "또 그 사람의 배후조종입니까?"
작금에 촉발되고 있는 서천특화시장 상인회의 내분은 서천군에서 그 원인을 제공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서천군수님의 답변을 듣고 싶습니다.
2025. 7. 21.
서천주민자치참여연대
|